분류 전체보기23 trim() /* [개념] 문자열 공백제거 (1) trim() (2) 문자열에 새로운 문자열을 결합해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한다. */ // 전체 공백 제거는 자바스크립트의 정규표현식을 이용을 해야 한다. let text = " Hello Javascript "; console.log(`[${text}]`); let rs1 = text.trim(); console.log(`[${rs1}]`); **정규 표현식이란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Guide/Regular_Expressions 2023. 3. 17. slice() / substring() /* [개념] 문자열 추출 (1) -slice(시작,끝) / 음수 인식함 > 뒤에서 부터 이동 -substring(시작,끝) / 음수인식 못함 > 0으로 인식 (2)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해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한다. */ let text = "Hello, JavaScript!"; let rs = text.slice(7); // 7번째부터 끝까지 추출 document.write(rs + " "); //JavaScript! rs = text.slice(0, 5); // 0번째부터 5번째 미만까지 추출 document.write(rs + " "); //Hello let text = "Hello, JavaScript!"; let rs = text.substring(7); // 7번째부터 끝까지 추출 docume.. 2023. 3. 17. replace() /* [개념] 문자열 교체 (1) replace("바꿀 문자", "새 문자") (2) 문자열을 교체해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한다. */ let text = "Hello, JavaScript!"; text = text.replace("Hello", "jihyun"); document.write(text); 2023. 3. 17. charAt(인덱스) /* [개념] 문자열 접근 (1) charAt(인덱스) (2) 특정 인덱스에 위치하는 문자를 반환한다. (3) index 범위를 벗어나는 값이 입력되면, 1) 대괄호로 접근하는 방법은 undefined를 반환한다. 2) 빈 문자열('')을 반환한다. */ let text = "Hello, JavaScript!"; document.write(`7번째 글자는 ${text[7]}입니다. `); document.write(`7번째 글자는 ${text.charAt(7)}입니다. `); document.write(text[100] + " : " + text.charAt(100)); 2023. 3. 17. 이전 1 2 3 4 ··· 6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