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23

input() input() 문자열 -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 / 오직 1개의 argument만 받을 수 있음 사용자가 질문에 답하면 그 value가 return하면서 input function은 사용자가 답한 value가 된다 ***** int(input()) > 문자열을 정수로 1.값을 입력하기까지 기다림 2. 값을 받아서 변수에 저장 > if문 또는 else 조건에 맞춰서 실행 2023. 3. 16.
sort() 정렬 문자열 / 숫자 , reverse() /* [개념] 배열 문자열 정렬 (1) sort() (2) 문자열의 유니코드 값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 (3)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려면 익명함수로 제공해야한다. */ ***아스키코드란 ? https://stepbystep1.tistory.com/10 참고! let str1 = "a"; let str2 = "b"; // charCodeAt(인덱스) 은 문자열을 아스키 코드로 변환해준다. document.write(str1.charCodeAt(0) + ", " + str2.charCodeAt(0) + " "); // 문자열을 대소비교할 경우, 아스키코드값으로 변환해 대소비교가 가능하다. document.write((str1 < str2) + " "); // true document.write((str1.. 2023. 3. 16.
[DOM] join() /* [개념] 배열 연결 (1) join() (2) 배열의 모든 요소를 하나의 문자열로 연결해 반환한다. */ let arr = ["미금", "정자", "수서", "양재", "당곡"]; let rs = arr.join(); document.write(rs + " : " + typeof rs + " "); // 미금,정자,수서,양재,당곡 : string rs = arr.join(""); document.write(rs + " "); // 미금정자수서양재당곡 rs = arr.join("-"); document.write(rs + " "); // 미금-정자-수서-양재-당곡 2023. 3. 16.
[DOM] pop() /* [개념] 배열 맨뒤에 요소 삭제 (1) pop() (2) 배열의 가장 마지막 요소를 제거한다. (3) 배열의 길이는(length)는 1씩 줄어든다. (4) 제거한 요소를 반환한다. */ let arr = ["미금", "정자", "수서", "양재", "당곡"]; // 방법1) pop() 메서드 이용해 삭제 // arr.pop(); document.write(arr.pop() + " "); // 당곡 document.write(arr + " "); // 미금,정자,수서,양재 // 방법2)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삭제 let temp = arr; arr = []; for(let i=0; i 2023. 3. 16.